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뉴지스탁 7

[젠포트] 익손절에서 기회비용 감안해보기

기본적으로 전략을 구상할 때 이익 실현, 손실 실현(손절) 기준을 정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익절은 +10%, 손절은 -5%와 같은 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그 기준이 반드시 자신의 매수가에서 +-의 퍼센트로 고정될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회비용을 고려한 처분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기회비용이란? 여러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그 선택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가치를 비용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주식에서는 한 종목을 선택하고 보유함으로써 다른 종목을 선택했을 때 발생하는 이익을 포기하는 것을 이야기하죠. 만약 자신이 오래 보유한 종목이 계속 횡보만 하는 상태라면 심정적으로 그 종목을 쳐내고 다른 종목을 사고 싶어 지지만, 아직 목표/손절가에 도달한 상태가 아니니 원칙적으로는 쳐낼 수 없..

[젠포트] 적자기업으로 수익내기

적자기업이라고 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상식적인 투자자라면 당연히 돈을 못 버는 회사니 투자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드실 것 같습니다. 물론 재무상태가 안 좋은 적자기업을 피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남들과 반대로 오히려 다른 사람들이 꺼려하는 적자기업으로도 돈을 벌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남들과 반대로 적자인 기업에 투자해서 버는 투자 아이디어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가치투자에서(혹은 트레이더라도) 적자기업은 우선적으로 제외하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고, 주주들은 그 이윤을 나눠먹는 것이 목적이니까요. 이윤이 없는 회사에 투자할 이유는 없겠죠. 하지만 아직 수익구조가 잡히지 않은 초기 스타트업 회사, 혹은 회사가 건실한데도 ..

[젠포트] 소형주 효과 확인해보기

소형주 효과란, 중대형주에 비해 소형주가 평균적으로 큰 수익을 낸다는 이론인데요. 정말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실제로 간단한 백테스팅을 통해 알아봅시다. 우선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을 통해 다음과 같이 수식을 짜봅니다. 동전주 제외, 시가총액 상위 40% (중대형주) 에서 펀더멘탈이 좋은 종목 순으로 20 종목을 매수하고, 1개월 간격으로 리밸런싱 하는 전략입니다. 이 전략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CAGR 12.5%, MDD 50% 정도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수식에서 시가총액 기준만 상위 40%에서 하위 40%로 바꿔본다면 어떨까요? 단순히 시가총액 조건만 바꿨을 뿐인데 CAGR이 3배가량 늘었습니다. 믿겨지나요? 이렇듯 소형주 효과는 아주 명백하게 눈으로 보..

[젠포트] 많이 떨어진 성장주 줍줍 전략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이 나와 주말 동안 간단한 전략을 짜 봤습니다. (월봉 백테스팅이란, 일별 변동성을 무시하고 월별 종가로만 계산하는 백테스팅입니다. 계산이 빠른 대신 디테일함이 줄어들죠. 중장기 보유 전략을 테스트하는데 유용합니다.) 전략의 컨셉은 이러합니다. 1. 동전주 제외 소형주 2. 매출,이익 성장률이 높은 주식 필터링 3. 중장기적으로 주가 하락률이 큰 주식 매수, 단기적 추세보다 중장기적 추세를 우선시해서 반영 4. 3개월간 보유 후 매도 (3개월마다 리밸런싱) 5. 투자기간 2007/01~2022/07 (15년) [수수료율: 0.015% 슬리피지: 0.000%] 보다시피 아주 간단한 전략입니다. 전략은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납득 가능하게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과최적화를 피하고 어떤 ..

[젠포트] 2022년 하반기 실전 투자 전략 2가지

2022년 7월 25일부터 실전 투입할 예정인 전략 2가지를 소개합니다. 우선 첫 번째 전략. 소형주 중에서 성장성이 좋고 저평가된 종목을 선정하여 까다로운 마켓타이밍을 적용, 보유한 종목은 빠르게 팔지 않고 가져가는 중장기 전략입니다. 백테스트 상 CAGR 54.8%, MDD 22% 정도로 적당(?) 히 만족스러울 만한 전략이나, 소형주 효과에 의해서 아마 큰 시드를 굴리기에는 어려울 듯싶네요(어차피 큰 시드가 없어서 상관 X). 백테스트랑 평균 보유일은 17일 정도고, 코스닥 소형주를 많이 가져가기 때문에 아무래도 코스닥 상관성이 0.56 정도로 좀 높게 나오는 편, 그래서 아마 코스닥 지수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 같은 전략입니다. 크게 수익이 나기를 기대하기보다, 저평가된 종목을 선정하기 때문에, ..

[젠포트]시스템 트레이딩을 이용한 간단한 단타 전략

딱 1분 만에 짜 본 단타 전략 컨셉은 이러합니다. 1. 모든 종목에서 필터링 X, 마켓타이밍 적용 X (매일 모든 종목에 대해 거르지 않고 선정 가능) 2. 최근 3일동안의 고가 대비 저가 변동성이 가장 큰 종목으로 정렬하여 10종목 선정 3. 변동성이 가장 심한 09:00 ~ 09:05까지 시스템을 이용한 TWAP( Time-Weighted Average Price, 시간분산 ) 매수 4. 익절가 +4%, 손절가 -4% 로 짧게 치고 나오기 5. 당일 4%내에서 움직인 종목은 다음날 전일 종가 +1%로 매도 6. 투자기간 2017/01/02~2022/06/14 (5년) [수수료율: 0.015% 슬리피지: 0.000%] 즉, 변동성 심한 종목을 펀더멘탈 같은 건 따지지 않고 짧게 먹거나 잃거나 한다는 ..

[젠포트]PER+PCR+PBR+중기마켓타이밍 전략

주말에 심심해서 간단한 전략을 짜보았습니다. 전략의 컨셉은 이러합니다. 1. 소형주 효과를 위해 시가총액 하위 500위 필터링 2. 코스닥 3개월 수익률이 +이면 매수, -이면 전량 매도후 현금화 3. 가치주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PER+PCR+PBR 종합순위를 매겨 낮은 순으로 매수 4. 분산투자 효과를 위해 50종목 매수 5. 투자기간 2007/01/02~2022/06/10 (15년) [수수료율: 0.015% 슬리피지: 0.000%]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하락장에서의 방어력을 보면 하락장에 돌입한 후로 거의 매매를 하지않기 때문에 연초 원금은 잘 지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5분만에 짜본 전략치곤 나쁘지 않은 결과인듯 하네요. 좀 다듬으면 더 괜찮은 전략이 될 지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