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주식투자/자동매매 전략

[젠포트] 소형주 효과 확인해보기

조가치투자 2022. 9. 18. 22:47
반응형

소형주 효과란, 중대형주에 비해 소형주가 평균적으로 큰 수익을 낸다는 이론인데요.

정말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실제로 간단한 백테스팅을 통해 알아봅시다.

우선 젠포트 월봉 백테스팅을 통해 다음과 같이 수식을 짜봅니다.


동전주 제외, 시가총액 상위 40% (중대형주) 에서 펀더멘탈이 좋은 종목 순으로 20 종목을 매수하고, 1개월 간격으로 리밸런싱 하는 전략입니다. 이 전략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CAGR 12.5%, MDD 50% 정도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수식에서 시가총액 기준만 상위 40%에서 하위 40%로 바꿔본다면 어떨까요?


단순히 시가총액 조건만 바꿨을 뿐인데 CAGR이 3배가량 늘었습니다. 믿겨지나요?

이렇듯 소형주 효과는 아주 명백하게 눈으로 보이며 주식투자에 있어서 당신이 굳이 소형주보다 대형주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소형주가 대형주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수익을 보일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요? 아마도 대형주에 비해 소형주의 성장 잠재력이 훨씬 큰 경우가 많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미 덩치가 커질대로 커진 대형주가 2~3배의 성장을 하기는 어렵지만, 소형주의 경우에는 종종 가능하기 때문이죠.

당신이 보통의 소형주 호가를 흔들 만큼 큰 재력을 가지지 않은 보통의 개미라면, 굳이 대형주에 투자하는 것보다 소형주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는 큰 금액을 운용하는 기관이나 외국인에 비해 개미가 가지는 이점이라고도 볼 수 있겠죠. 그러나 거래대금이 부족한 소형주에 한 번에 큰 금액으로 매매하려 하면 비정상적인 호가 움직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도록 합시다.

물론 최근 들어서는 이런 소형주 효과를 공략하는 개미들이 많아져서 오히려 소형주 효과가 사라진다고 하는 의견들도 있습니다. 물론 좀 더 긴 기간의 최신 테스트가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직 알파가 사라지진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