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주식투자/자동매매 전략

[젠포트] 이동평균선 수렴 수식 만들기

조가치투자 2022. 8. 3. 23:01
반응형

주가 이동평균선 수렴이란, 각 이동평균선들이 밀집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면, 이는 고전적인 차트 해석상 매수평균값이 모이는 것이며 곧 한쪽으로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우선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과 가장 가까운 종목을 찾으려면 젠포트에서 다음 예시와 같이 수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절대값('이격도({20일})-100') (오름차순)

이 말인 즉, 20일 이동평균선과 종가가 위든 아래든 가장 가까이 붙은 종목을 찾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여러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겠죠. (예시)

절대값('이격도({20일})-100')+절대값('이격도({60일})-100')+절대값('이격도({120일})-100')+절대값('이격도({200일})-100') (오름차순)

20일, 60일, 120일, 200일 이동평균선과의 총 이격도 합이 가장 낮은 종목을 찾는 수식입니다.

어떠한 필터링 조건도 없이, 우선순위를 이렇게 설정하면 2022년 8월 3일 기준 (8월 4일 매수 예정)으로 다음과 같은 종목이 뽑히게 됩니다.


1순위로 뽑힌 에스앤디 종목을 보면,

다음과 같이 이평선 수렴 수식이 잘 계산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만약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면서, 저렇게 들쭉 날쭉한 차트보다 조용히 밀집되는 모양의 차트를 찾고 싶다면?

2차 정렬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절대값('주가이동평균_변화율({20일}, {20일})')+절대값('주가이동평균_변화율({60일}, {20일})')+절대값('주가이동평균_변화율({120일}, {20일})')+절대값('주가이동평균_변화율({200일}, {20일})') (오름차순)

이렇게 하면 최근 20일 동안 이동평균선 변화율의 합이 가장 낮은 종목이 뽑히게 됩니다.

물론 이는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해본 수식이고, 더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위와 같이 2차 정렬을 해서 종목을 추려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순위 매수종목인 신도리코를 보면,

대략 요런 차트가 나오네요.

이동평균선 수렴 수식을 각자 원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면 최근 변동성이 적으면서 곧 급등이 나올 수 있는 종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각자 전략에 맞추어 활용해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