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주식투자/주식기초

재무제표 알아보기 (2) 영업현금흐름,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

조가치투자 2022. 11. 29. 12:30
반응형
 

재무제표 알아보기 (1)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번 재무제표를 볼 때마다 '아 이거 뭐였더라? 대충 알긴 아는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네'라고 할 여러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관비.. 듣

invest-like-dick.tistory.com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현금흐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손익계산서의 순이익이 높다고 그 회사가 돈이 많은 회사일까요? 또, 회사가 가지고 있는 돈은 언제 확보된 돈일까요? 현금흐름표는 손익계산서에서 알 수 없는 정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는 장부 상의 이득과 금고 속의 현금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장부 상 이득은 속일 수 있어도 금고의 현금을 속이기는 어렵죠. 지난 시간에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을 포함한 손익계산서를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회사에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는 어떤 차이지?

현금흐름표를 설명하기 전에 '발생주의 회계'를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발생주의 회계는 수익에 해당하는 거래가 발생하는 순간 바로 재무제표에 기록한다는 의미입니다. 지금 당장 대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일단 거래를 체결한다면 그 시점에 매출로 기록되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 손익계산서의 수익은 현금흐름표에서의 현금과 다른 역할을 합니다.

 

현금흐름표는 그 돈의 성격에 따라 영업, 투자, 재무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영업활동 현금흐름(Cash Flow from Operating Activities)은 기업의 주된 사업으로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냅니다. 법인세를 떼고 난 순이익에 감가상각비, 이자소득 및 지출 등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그래서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순이익을 비교해본다면 회사의 상태를 대략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순이익은 흑자인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큰 차이가 나서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라면 그 회사에 뭔가 문제가 있거나 장부를 조작하여 속이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혹은 그 시기에 큰 계약을 했으나 아직 대금은 지불되지 않은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케이스를 일일이 살펴보기는 힘들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가능하다면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순이익이 큰 차이가 나지 않거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큰 회사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영업이익, 순이익이 아무리 좋아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그렇지 않다면 실제 회사에 들어오는 돈은 없는 상황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Cash Flow from Investment Activities)은 기업이 자산 처분과 취득, 금융 투자와 관련하여 벌어들이거나 나간 돈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투자를 하면 마이너스로 잡히고, 자산이나 주식 같은 것을 팔았을 때는 플러스로 잡힙니다. 또 대출을 상환받으면 플러스, 대출을 해주면 마이너스로 잡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돈을 벌어들인 회사는 지속적인 투자를 하게 되므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지만, 회사가 현금이 필요한 상황이라 자산이나 주식을 처분하는 등의 경우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회사의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라면, 회사의 현금흐름이 좋지 않아져 가지고 있던 자산을 매각한 것은 아닌지 주의해서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름(Cash Flow from Financing Activities)은 기업이 영업활동과 관련 없는 현금흐름을 보여줍니다.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을 경우, 배당금이나 차입금 등이 재무활동 현금흐름에 포함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이면 자금을 대출받았거나 회사채, 주식 등을 발행하여 현금을 확보한 경우이고, 마이너스인 경우는 자사주 매입, 배당금이나 부채 상환 등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인 것이 좋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자사주 매입(-)을 한 경우와, 증자(+)를 한 경우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인 것이 이상적입니다. 돈을 잘 벌어들이면서 투자를 하고, 부채를 갚고 배당을 나눠주는 것이 정상적인 재무활동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는 회사가 있다면 현금 흐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특히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계속해서 마이너스인 회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