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알아보기 (1)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번 재무제표를 볼 때마다 '아 이거 뭐였더라? 대충 알긴 아는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네'라고 할 여러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손익계산서에 나타나는 매출액, 매출원가,
invest-like-dick.tistory.com
재무제표 알아보기 (2) 영업현금흐름,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
재무제표 알아보기 (1)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번 재무제표를 볼 때마다 '아 이거 뭐였더라? 대충 알긴 아는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네'라고 할 여러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 보려
invest-like-dick.tistory.com
손익계산서, 현금흐름에 이어 이번에는 안정성 지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돈을 잘 버는 회사는 점차 그 회사의 규모를 키워가고, 자산을 많이 확보하겠죠. 또 번 돈으로 그동안 투자를 하느라 빌렸던 부채를 갚아나가기도 합니다. 손익계산서로 수익성이 좋은 회사를 알아볼 수 있다면 안정성 지표들은 회사가 얼마나 벌어놓은 돈이 많은지를 나타냅니다. 이번 시간에는 회사의 안정성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들인 유동비율, 부채비율, 유보율, 당좌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동비율
유동 비율 = 유동 자산 / 유동 부채 x 100
즉, 유동 부채에 비해 유동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유동 자산, 유동 부채가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말하고, 유동 부채는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말합니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회사의 단기적인 지급능력이 건전한 상태입니다. 만약 유동 비율이 100% 미만이라면, 1년 안에 갚아야 할 부채보다 현재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최소한 유동비율이 100% 이상인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채비율
부채 비율 = 부채 총계 / 자본 총계 x 100
부채 비율은 기업의 자본에 비해서 전체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기업을 경영하는데에 있어서 타인의 자본인 부채는 필수 불가결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부채 비율이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부채에는 이자가 붙기 때문에 부채 비율이 200% 넘는 회사는 피하는 것이 상식적입니다.
그러나 업종의 특성에 따라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도 많으니 업종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부채비율을 함께 고려해봐야 합니다. 은행업을 비롯해서 몇몇 업종은 부채비율이 유독 높은 경우가 있는데, 이는 타인의 자본을 이용해서 회사를 운영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은행의 경우에는 고객의 예금이 되겠죠. 따라서 '부채비율이 높네? 안 좋은 회사다!'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기업이 속한 업종의 특성을 먼저 잘 파악해야 합니다.
유보율
유보율 = 잉여금(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 / 납입자본금 x 100
이익잉여금은 회사가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돈, 자본잉여금은 주식평가이익이나 유상증자같은 주식발행 초과금으로 벌어들이는 돈입니다. 즉, 잉여금은 회사가 어떻게든 벌어들인 돈이죠. 납입자본금은 재무상태표의 자본금을 말합니다. 그러니 유보율은 회사의 자본금에 비해 벌어들이는 돈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는 위기시에 대처하는 회사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유보율이 높은 회사는 쉽게 말해 덩치가 커진 회사로, 경제 불황시에도 버틸 자산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좌율
당좌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x 100
유동비율의 유동자산 항목에서 기업의 재고자산을 빼고 당좌자산으로만 계산하는 것이 당좌율입니다. 유동비율과 비슷하지만 회사에서 즉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성격의 자산만 따져 부채 지불능력을 계산한 것이죠. 유동비율보다 좀 더 깐깐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100%가 넘어도 당좌율이 100%가 넘지 않는다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에 대해 당장 동원할 현금이 부족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능하다면 유동비율과 당좌율이 모두 100%가 넘는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주식투자 > 주식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PBR 등 주린이들에게 유용한 재무지표 총정리 (0) | 2022.12.14 |
---|---|
유상증자시 신주인수권과 발행가액 (0) | 2022.12.13 |
재무제표 알아보기 (2) 영업현금흐름,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 (0) | 2022.11.29 |
재무제표 알아보기 (1)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2.11.28 |
초보자들을 위한 CPI 이야기 (0) | 202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