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추세추종/공부,메모용

단기 저점과 고점 차트에 표시해보기

조가치투자 2024. 1. 12. 21:45
반응형

얼마 전 '장단기 투자의 비밀'을 재독 하던 중 단기 저점과 고점을 정의하는 부분을 읽고 문득 뭔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책리뷰] 장단기 투자의 비밀

저자 : 래리 윌리엄스, 출판 : 이레미디어, 출간일 : 2023년 01월 27일 나의 한줄평 대부분은 알아도 못하는 비밀들 리뷰 우선 저자 래리 윌리엄스는 세계 선물 트레이딩 대회에서 1만 달러를 110만

invest-like-dick.tistory.com

 

단기 저점과 고점 설명 부분

 

차트에 이걸 한번 표시해보고 싶어졌다. HTS로는 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직접 해보기로 했다. (방법을 아는 분은 알려주시면 은인으로 모시겠습니다.)

 

우선 단기 저점과 고점을 수식으로 정의해야 했다. 그런데 책에서 정의하는 방법이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단기 고점은 앞뒤로 그 고점일의 저점을 깨야 그날이 단기 고점이 되는 건데, 여기서 단기 고점의 저점을 앞뒤로 언제까지 깨야 하는 건지 그 기간(window)은 정확히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애매했다.

 

반대로 단기 저점은 고점이 상향돌파되어야지만 단기 저점으로 정의된다. 단순히 그날이 최저점을 기록했다고 해서 단기 저점이 되는 것이 아니다. 위 그림의 예시를 보면 단기 저점 후보일의 고점을 돌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단기 저점 후보일은 단기 저점이 되지 못했다.

 

그래도 우선 하나씩 해보기로 했다. 우선 나는 단기 저점과 고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1일, -1일 정의)

단기 고점 d일을 기준으로 d일의 고가와 저가는 d+1일과 d-1일의 고가와 저가보다 높다. 이걸 수식화해서 나타내면
d(고가) > d+1(고가) &
d(저가) > d+1(저가) &
d(고가) > d-1(고가) &
d(저가) > d-1(저가)
다음과 같다. 단기 저점은 그 반대로 적용.

 

수식으로 나타내면 복잡한데, 그냥 아래와 같은 느낌이다. 고점 후보일 양쪽의 고가와 저가가 고점 후보일의 고가와 저가보다 더 낮으면 된다.

 

 

먼저 시험삼아 쓸 코스닥 차트를 불러오고,  단기 저점과 고점을 차트에 한번 표시해 봤다. 단기 저점은 파란색 원, 단기 고점은 빨간색 원이다.

 

대충 그럴 듯 한데, 뭔가 중간중간 저점과 고점이 전부 표시되지 않은 듯한 느낌도 든다. 단기 저점과 고점의 정의를 바꿔보자. 이번엔 앞 뒤 window를 이틀로 늘려서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본다.

단기 고점 d일을 기준으로 d일의 고가와 저가는 d+1일, d+2일과 d-1일, d+2일의 고가와 저가보다 높다. 이걸 수식화해서 나타내면
d(고가) > max(d+1(고가), d+2(고가)) &
d(저가) > min(d+1(저가), d+2(저가)) &
d(고가) > max(d-1(고가), d+2(고가)) &
d(저가) > min(d-1(저가), d-2(저가))
다음과 같다. 단기 저점은 그 반대로 적용.

 

그러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어떤 게 더 정확한 단기 고점과 저점의 정의일지는 모르겠다. 이게 window가 5일이므로 차트를 주봉 프레임으로 보는 추세추종 방식에 더 적합할까? 아니면 주봉을 가지고 처음 해본 방법대로 해볼까.. 여러 생각이 들었지만 어쨌든 일단 이렇게 해본다.

 

이번엔 차트에 단기 저점-고점을 따라 선을 표시해 보기로 한다. 단기 저점의 저가, 단기 고점의 고가를 쭉 이어서 선을 그으면 다음과 같은 그림이 완성된다. 

 

보다 보면 어라, 23년 4월에 단기 저점에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스킵한 느낌이 난다. 아래 그림에서 원으로 표시한 저 위치다.

 

저 부분을 자세히 보면, 

 

 

저 파란 캔들(저점 후보일)을 중심으로 오른쪽 두 캔들(d+1, d+2)의 고가가 저점 후보일의 고가를 깨지 못했기 때문에 저 캔들이 단기 저점으로 정의되지 못했다. 이럴 경우엔 window를 늘려야 하나..? 그런데 그러면 너무 window가 길어지는 것 아닌가. 일단 고민은 미뤄두고 다음 작업을 해보자.

 

자, 그러면 중기 저점과 고점 또한 책에서 본 대로 정의할 수 있다. 중기 저점과 고점의 정의는 간단하다.

중기 고점의 정의
양쪽 단기 고점보다 높게 위치한 단기 고점을 중기 고점으로 정의한다.

중기 저점의 정의
양쪽 단기 저점보다 낮게 위치한 단기 저점을 중기 저점으로 정의한다.

 

이제 중기 고점과 중기 저점을 마찬가지로 그려본다.

 

어느 정도 그럴싸하다. 근데 이제 이걸 가지고 뭘 할 거냐고? 그건 나도 아직 모른다. 시간과 에너지가 남아돌때 다른 아이디어를 추가해봐야겠다.

 

To be continu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