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추세추종/공부,메모용

[메모용] 변동성 축소의 의미

조가치투자 2023. 7. 21. 18:09
반응형

systrader 님의 말을 빌려 메모용으로..




변동성이 축소되는 패턴은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요,
변동성 축소를 매물 소화라고 표현하는 분도 계신데, 개인적으로는 매물 소화보다는 '매집'의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왜냐면, 매물 소화는 하락하던 추세에서 주가가 급등해서 저항선에 맞고 떨어지는 과정도 매물 소화 과정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차트 패턴 해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패턴은 좁은 박스권(플랫 베이스) 패턴인데요, 플랫 베이스 패턴이 가장 중요합니다
W 패턴이나 high and tight flag 패턴도 사실은 엄밀히 말하면 플랫 베이스 패턴의 변형입니다.
정석적으로 이상적인 플랫 베이스 패턴은 박스권이 좁고 기간이 긴 패턴이지만,
W 패턴은 폭이 조금 더 넓고 불규칙적이라는 차이점이 있고, tight flag 패턴은 상승 추세 속에서 미시적인 플랫 베이스 패턴이 형성된 거라고 보면 됩니다.

패턴이 어떻건 간에 돌파 직전에는 길건 짧건 왜 변동성이 축소되어야 하느냐?
그것은 변동성 축소 = 좁은 박스권 = 그 좁은 가격대에서 집중적으로 세력이 매집 = 세력의 매수 평단가가 그 부근

이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즉, 박스권이 좁고 길게 형성될수록 해당 박스권의 가격이 세력의 평균 매수단가와 비슷하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박스권 폭이 아주 넓고 크다면, 세력이 저 밑바닥에서도 사올렸을 수 있기 때문에, 세력의 매수 평단가는 훨씬 낮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좁은 박스권(변동성 축소) 패턴과 넓은 박스권(변동성 확대 > 15%) 이상인 경우에 매수할 경우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좁은 박스권 형성(변동성 축소) 상태에서 돌파가 일어나면, 우리가 매수하는 돌파 가격은 박스권 평단가보다는 높지만, 차이가 크지는 않습니다. 즉, 우리는 세력의 평균 매수단가와 비슷한 가격에 사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력이 그동안 매집한 물량을 팔아서 수익을 올리려면 더 가격을 띄워야 하기 때문에 하락할 가능성보다는 업사이트 포텐셜이 큰 위치라는 거죠

반면 박스권이 넓으면, 세력의 매수 평단가가 아주 낮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더 돌파가 일어난 구간은 세력은 이미 충분히 수익을 보고 있는 구간이라 언제든지 급락해서 차익실현이 나와도 논리적으로 전혀 이상한 구간이 아니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이런 구간에서 매수하는 것은 전형적인 추격 매수가 되는거죠.

박스권 폭이 10%냐 15%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이 원리를 깨닫는게 중요합니다.

그런 면에서 변동폭이 축소되어야 안전하고 손익비가 큰 자리라는 것은 그냥 단순한 기계적인 공식이나 도식화된 기법이 아니라,
철저히 논리적이고
그 어떤 시장에서도 불변하는 트레이딩의 진리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