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주식투자/주식기초

금리이야기(3) 금리와 주가의 관계

조가치투자 2022. 10. 21. 22:26
반응형
금리는 주가랑 어떤 상관이 있는 걸까요? 과거 그래프를 보면 금리와 주가는 동행하기도 하고, 반대로 가기도 하는데요. 그럼 금리와 주가는 관계가 없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주가의 관계에 대해 그 이면에 숨어있는 배경을 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금리와 주가의 전통적인 관계

우선 교과서적인 이야기를 먼저 해보죠. 경기가 좋으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기업의 이윤이 늘어나니 당연히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기업의 이윤이 늘어나면 기업의 신규 투자가 활발해지고, 이는 즉 대출수요, 돈의 수요가 늘어나는 효과를 불러오겠죠. 돈의 수요가 늘어나니 자연스레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

 

즉, 경기가 좋으면 주가도 오르고 금리도 상승한다.


반대로 경기가 안 좋은 상황을 가정해보죠. 경기 둔화 상황에서 기업들의 이익도 줄어들고 주가 또한 하락합니다. 기업 투자는 위축되고,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중앙은행은 돈을 찍어내면서 금리는 자연스레 하락하게 됩니다.

즉, 경기가 안좋으면 주가도 하락하고 금리도 내려간다.

금리와 주가는 함께 움직이는 속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식 시장에 관심이 조금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실제로 주가 시장은 금리가 하락하면 상승하지 않던가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한 건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계속 변하는 주가와 금리의 관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연준은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0까지 낮추고 양적완화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합니다. 장기 국채를 사들이면서 돈을 공급하니, 시장에서는 장기금리가 하락하고 넘쳐나는 돈들은 자산시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이렇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리와 주가의 관계가 전통적인 흐름에서 바뀌게 됩니다. 금리와 주가가 동행하기보다 반대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저금리 기조 속에서 기업이익의 실적에 큰 기대 없이도 돈의 힘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것을 유동성 장세라고 합니다.

2016년부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재정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는 정책을 펼치는데, 주식시장은 당연히 이러한 정책때문에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로 상승을 보이게 됩니다. 경기가 살아날 거라는 기대감에 장기금리 또한 상승합니다. 이렇게 2018년 하반기까지 주가도 오르고 금리도 오르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던 2018년 하반기, 미국의 높아진 금리에 대한 위기감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연준은 2019년 하반기에 금리인하를 하게 됩니다. 기준금리 인하가 시장금리 인하로 이어지니, 주가는 기대감에 올라갔지만 금리는 다시 내려가는 역행하는 관계가 되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2020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코로나 사태가 터집니다. 주가는 폭락하고 연준은 경기부양을 위해 다시 금리인하와 함께 유동성 장세가 펼쳐집니다.

그리고 2022년까지의 오늘,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연준은 급격한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각종 글로벌 이슈와 함께 유동성이 흡수되며 경기침체를 우려한 시장은 하락세로 돌아서게 됩니다.


이렇듯 금리와 주가는 경기 상황에 따라 함께하기도, 반대로 움직이기도 합니다.

금리인상기에 투자할만한 주식

금리가 오르면 은행의 예대마진(예금 대출 금리의 차이)이 늘어나서 은행의 이익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와 비슷한 원리로 보험회사들도 이익이 늘어납니다.

금리와 주가의 전통적인 관계로 금리가 오른다면 경기가 좋을 때 금리인상을 하므로, 경기민감주(반도체, 자동차, 화학, 정유, 조선 등)가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기에 투자할만한 주식

경기가 침체되며 금리가 인하된다면, 부채가 많은 대신 미래의 매출과 이익을 꿈꾸는 성장주에 돈이 몰리게 됩니다. 부채의 부담은 금리가 인하되면 줄기 때문이죠. (무조건 부채가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늘어나는 회사를 찾아봅시다.)

또 경기가 어려워도 꾸준히 매출을 유지하는 경기방어주, 현금흐름이 좋아서 예금보다 높은 배당을 줄 수 있는 배당주가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 채권투자 또한 생각해 볼만합니다. 금리가 인하하므로 채권 금리가 낮아지며 가격은 상승하게 되니까요(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금리이야기(1) 기준금리란? 주린이들을 위한 금리 설명

요즘 뉴스만 보면 금리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기준금리가 뭐길래 다들 난리일까? 이 글에서는 기준금리란 무엇이고, 기준금리가 어떻게 우리한테 영향을 주는지 체크해보려고 한다. 금리는 뭘

invest-like-dick.tistory.com

 

 

금리이야기(2) 금리와 환율의 관계 (feat.통화스와프란)

기준금리 인상이 한창인 요즘, 뉴스만 보면 환율이 이례적으로 높아 우려하는 내용들이 많다. 금리와 환율은 어떤 관계일까? 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환율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자. 환율이

invest-like-dic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