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날까지, 조가치투자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추세추종

마크 미너비니의 MTT(Mark Minervini Trend Template) 소개

조가치투자 2023. 6. 12. 17:25
반응형
추세추종 방식의 투자자들, 특히 마크 미너비니의 투자 방식을 따르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MTT가 유명합니다. MTT는 마크 미너비니 트렌드 템플릿의 약자로, 그가 책에서 종목을 선정할 때 사용하는 조건을 제시한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히 MTT가 무엇인지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TT란?

Mark Minervini Trend Template은 성공적인 트레이더인 마크 미너비니가 개발한 도구입니다. 미너비니는 미국 트레이딩 챔피언십에서 여러 번 우승을 차지한 유명하고 성공적인 트레이더로, 그의 책 <Trade like a Stock Market Wizard>에서 그는 종목 선정을 위한 조건을 "Trend Template"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는데요. 그의 트렌드 템플릿을 줄여서 MTT(또는 MMT)라고 합니다.

 

그의 Trend Template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글에서 검색한 결과입니다.)

 

이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주가가 150일과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것.
  2. 150일 이동평균선은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것.
  3. 200일 이동평균선은 최소 1개월 이상 상승추세 (대부분 최소 4~5개월 선호)에 있을 것.
  4. 50일 이동평균선은 150일,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것
  5. 현재 주가가 5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것.
  6. 현재 주가는 52주 최저가보다 최소 30% 위에 있을 것. (대부분 좋은 종목은 큰 상승 전 52주 최저가 대비 100%, 300% 이상 올라와있다.)
  7. 현재 주가가 52주 신고가보다 25% 내에 있을 것 (신고가에 가까울수록 좋다.)
  8. 상대강도는 최소 70, 80이나 90이상이 선호된다.

 

MTT의 의미?

 

1,2,4,5 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종가 > 50 이평선 > 150 이평선 > 200 이평선이라는 뜻입니다. 나머지도 천천히 읽어보면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지는 않습니다. 결국 상승추세를 강하고 오래 나타내는 주도주는 저 조건을 자연스럽게 만족하게 됩니다.

 

즉,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강한 추세를 형성하는 주도주 위주로 관심을 가지고 거래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겠죠. 그렇다고 초보자분들이 MTT에 속한 종목들은 모두 상승하고, 그렇지 않은 종목들은 모두 하락할 것이라는 편향된 관점을 가지는 것은 위험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상승하는 종목들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바닥을 찍고 천천히 추세를 반전하는 종목이나,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종목에서 역추세적인 단기 급등이 나오는 경우도 있겠죠. MTT는 단지 현재 시장에서 주도적으로 시세를 형성하는 종목을 걸러내는 정도의 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장기적인 이동평균선이 정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급등만으로는 저 조건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추세추종 방식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직관적이면서도 간편한 도구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약하면, 나는 추세추종 방식의 투자를 하고 싶다 하는 투자자분들에게만 권하는 도구가 되겠습니다.

 

혹시 8번에 나온 상대강도에 대한 개념이 궁금하신 분들은 다른 글에서 참고바랍니다.

 

 


앞으로 제 블로그에는 RS와 MTT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들을 매일 엑셀 데이터로 올려볼 생각입니다. 필요한 분들이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추세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R기준 리스크 관리 계산기(Beta)  (0) 2024.09.27
RS(Relative Strength) + 변형식 소개  (11) 20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