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에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에 쓰이는 다양한 지표와 방법들 중 상대적 강도 지수(Relative Strength, RS)는 주식의 상대적인 상승 강도를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표로, 추세추종 투자자들에게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RS는 개별 주식의 주가 변화율과 시장 지수의 변화율을 비교하여 상대적 성과를 분석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RS 계산 방식은 시장 지수가 마이너스인 경우 왜곡된 결과를 보여주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시장 지수가 음수일 경우에 대한 조정 방법을 도입하여 RS 값을 도출해 보았습니다.
주가상대강도 (Relative Strength) 란?
주가상대강도 (Relative Strength)는 주식의 상대적인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윌리엄 오닐이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에서 RS를 소개했으며, 이것은 어떤 주식이 시장 전반에 비해 얼마나 강하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합니다. 주가상대강도는 주식의 가격 움직임을 다른 주식이나 시장의 움직임과 비교하여 분석합니다. 주가상대강도가 높으면 해당 주식은 시장 전체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모멘텀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가상대강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약한 모멘텀을 나타냅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해당 주식이 다른 주식, 시장 상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또는 약한 성과를 보여주는지를 알려줍니다.
RS(기간) = 주가 변화율(기간) / 시장 지수 변화율(기간)
RS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가 변화율을 시장 지수 변화율로 나눈 비율로 계산됩니다. 그러나 기존의 계산 방식에서는 시장 지수가 음수인 경우에 주가가 시장 지수에 비해 더 크게 하락한 종목의 RS 값이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 대해 검색을 열심히 해봤지만 명쾌한 답을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종목의 주가가 10% 상승하였지만 시장 지수가 5% 상승한 경우, 기존의 RS 계산 방식에서는 RS는 2가 됩니다. 그러나 시장 지수가 -3%로 하락한 경우, 기존의 RS 계산 방식으로는 RS는 -3.33이 됩니다. 이는 종목의 성과를 왜곡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시장이 하락할 때 올랐으면 상대강도는 높게 측정되어야 할 텐데 말이죠. 결국 상대강도 지수는 시장지수보다 강한 종목을 뽑아내기 위함인데, 이럴 경우 시장지수보다 강한 게 아니라 시장지수에 비해 하락율이 큰 종목이 상위에 나타나게 됩니다.
시장 지수가 음수일 경우를 고려한 RS 계산식 변형
RS = (s1/s2) / (I1/I2)
S1, S2 = 주가의 최근값, 과거값
I1, I2 = 지수의 최근값, 과거값
이렇게 하면 변화율 자체가 아닌 가격을 비교하기 때문에 더 간단하게 왜곡되지 않은 값을 계산 가능합니다.
물론 이러나저러나 시장 지수에 비해 강한 종목을 뽑을 수 있기만 하면 됩니다.
장기 RS와 단기 RS 정의
기본적으로 RS는 정답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1년 정도의 장기적인 지표로 사용되지만, 저는 단기 RS를 도입해서 상대적인 성과를 기간별로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RS에 대한 window는 계속해서 연구해 볼 생각입니다.
장기 RS = RS(60일)*2 + RS(120일) + RS(180일) + RS(240일)
단기 RS = RS(3일) + RS(5일) + RS(10일) + RS(20일)
장기 RS와 단기 RS가 모두 높은 경우, 장기적으로도 크게 상승했고 단기적으로도 과열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장기 RS는 높으나 단기 RS가 낮은 경우, 장기적으로는 많이 상승했으나 단기적인 조정을 거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크 미너비니가 이야기하는 상승 추세에서 VCP(변동성 축소) 패턴을 그리는 종목은 보통 장기 RS는 높으나 단기 RS는 아주 높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가상대강도에 대한 설명과 RS 계산 방식의 문제점, 그리고 새로운 RS 계산 방식과 장기 RS와 단기 RS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는 이 분석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일별로 RS가 높은 종목을 필터링한 결과를 엑셀 파일로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추세추종/MMT_RS 일일 데이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조까지 굵고 단단하게 투자하자! 조가치투자의 블로그입니다. 추세추종, 젠포트를 이용한 자동매매 투자를 합니다.
invest-like-dick.tistory.com
'추세추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R기준 리스크 관리 계산기(Beta) (0) | 2024.09.27 |
---|---|
마크 미너비니의 MTT(Mark Minervini Trend Template) 소개 (0) | 2023.06.12 |